본문 바로가기

감나무 병충해 방제 BEST 7 총정리 (시기별 약제, 후기, 꿀팁)

대한민국만1세 2025. 4. 20.

매년 반복되는 감나무 병충해, 제대로 된 시기와 약제를 쓰지 않으면 수확량에 직격타를 입게 됩니다. 특히 4월부터 시작되는 발아기 방제는 감관총채벌레와 탄저병의 확산을 막는 핵심 시기이죠. 수확까지 건강한 감나무를 키우기 위한 방제 전략, 이 글에서 시기별로 정리해드립니다.

감나무 병충해 방제는 시기와 병해에 따라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 글에서는 봄부터 수확 후까지 시기별 방제법을 감 병해별로 정리합니다.

💡 참고로 이런 것도 있어요!

1. 동절기 방제 (2~3월)

겨울철에는 월동 병해충을 없애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 대상 병충해: 깍지벌레, 응애, 월동 병원균
  • 약제: 석회유황합제 20배 또는 스미치온 유제 20배
  • 추가 조치: 기계유 유제 살포, 원줄기 껍질 벗기기 및 소각
  • 적정 시기: 3월 중순경

2. 발아기 방제 (4월)

현재(4월 20일)는 탄저병, 진딧물, 감관총채벌레 방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 약제: 만코제브(1,500배) + 스미치온(1,000배) 혼합
  • 중점 관리: 4월 말~5월 초 성충이 감나무로 이동하는 시기

지금이 바로 방제를 시작해야 할 때입니다.

📢 추천 정보

3. 개화기 및 생장기 방제 (5~6월)

  • 대상: 감꼭지나방, 흰가루병, 낙엽병
  • 약제: 스미치온(1,000배) + 디니코나졸(2,000배), 다이센엠 계열 교호 살포
  • 방제 적기: 감꽃이 지고 난 직후 ~ 6월 상순

4. 열매 성장기 방제 (7~8월)

  • 병해충: 깍지벌레, 탄저병, 노린재
  • 약제: 프로클로라즈(1,000배), 15일 간격 살포
  • 중점 시기: 7월 5일~8월 25일 (노린재·탄저병 집중 발생)

5. 수확 전 방제 (8~9월)

  • 병해충: 탄저병, 깍지벌레, 미국선녀벌레
  • 방제 시기: 수확 30일 전 마지막 방제
  • 주의사항: 약제 잔류 방지를 위해 수확 20일 전까지만 사용

6. 수확 후 방제 (10월~겨울)

  • 대상: 월동 병충해
  • 조치: 낙엽, 병든 잎 소각 또는 매몰
  • 미국선녀벌레 산란기: 8~10월, 추가 방제 필요

7. 주요 감 병해별 요약표

병해충 발생 시기 주요 피해 방제 시기
감관총채벌레 4월 말~5월 상순 잎 말림, 과피 손상 4월 하순~5월 초
흰가루병 5월 하순~수확기 광합성 저해 5월 하순
탄저병 6~8월 과일 흑반 4월부터 예방 시작

FAQ

Q1. 감관총채벌레 방제 타이밍은?

A1. 4월 말부터 5월 초가 감관총채벌레 방제 적기입니다.

Q2. 탄저병은 언제부터 대비해야 하나요?

A2. 4월 초부터 시작하는 예방이 중요하며, 여름철엔 집중 살포가 필요합니다.

Q3. 약제 살포 시 주의할 점은?

A3. 병해에 따라 적절한 희석비율을 지키고, 수확 전엔 약제 제한 기간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결론 

감나무 병충해는 정확한 시기와 약제 선택이 방제의 성패를 좌우합니다. 지금 시점에서는 발아기 방제에 집중하고, 여름철 탄저병 집중 방제를 위한 계획을 함께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내 감나무에 맞는 약제 조합 무료 상담받기 👇

시기별 감나무 방제 캘린더 다운로드하기 👇

댓글